본문 바로가기
다이어트와 건강/복부비만다이어트

[복부비만 다이어트]복부비만 원인! 나는 피하지방? 내장지방?

by 세상밖으로  2011. 1. 12.
반응형

[복부비만 다이어트]복부비만 원인! 나는 피하지방? 내장지방?


복부비만은 복부에 지방이 쌓여서 생깁니다. 복부에 쌓이는 지방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요. 바로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입니다.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은 지방이 쌓이는 부위도 다릅니다만 우리몸에 주는 위험도 크게 다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내장지방이 더 위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피하지방도 일단 몸에 쌓이게 되면 내장지방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내장지방은 큰병으로 진행되기 위한 초석이 되는 것입니다.

복부비만도 개개인의 체질과 신체조건, 호르몬분비 상태등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각기 다른 형태의 복부비만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해결방법 또한 달라져하 하겠습니다.

일단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구별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배 많이 나오신 분들은 내 뱃속의 지방이 어떤 놈들인지 잘 판단해보세요.



1. 피하지방형


간단하게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으로 손으로 쉽게 잡히는 뱃살이면 피하지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피하지방형 복부비만은 주로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배둘레가 같더라도 뱃살이 더 두껍게 잡히는 사람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나다 보니 몸매를 죽이는 악의 축이기도 하지만 건강을 해친다는 면에서는 내장지방에 비해 크게 위험하지는 않습니다.
남성에게는 술과 담배등으로 인한 내장지방형 복부비만이 많지만 여성은 복부주변의 허리살, 아랫배, 허벅지등 여러 부위 피부 밑에 지방층이 발달해 살이 찌는 피하지방형이 더 많습니다.


피하지방이 오랜시간동안 지속되어 셀룰라이트라는 지방덩어리로 변형이 됩니다. 부위별 셀룰라이트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허벅지 뒤쪽과 둔부사이 팔 안쪽을 세게 누르거나 비틀어 보았을때 울퉁불퉁한 멍우리가 보이면 셀룰라이트가 자리잡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셀룰라이트는 식이요법과 운동으로는 빠지지 않기 때문에 림프를 순환시키는 마사지를 자주해야합니다.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거나 반신욕등을 자주 하는것도 효과적인 방법이 되겠습니다.



2. 내장지방형


내장지방형 복부비만의 특징은 배는 불룩하게 나왔지만 잘잡히지않고 빵빵한? 딱딱한 느낌이 납니다. 또한 내장지방형 복부비만은 피하지방 복부비만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살도 두껍게 잡히기도 하죠.
복부비만 유형중 우리몸에 가장 위험한 복부비만으로 술과 담배를 자주하는 30~40대 남성에게 주로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내장지방은 몸속 내장 사이에 지방이 쌓인 것으로 혈관을 막고 심장병이나 뇌졸중, 고혈압 등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됩니다.


내장지방은 유산소 운동만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일주일에 5회 이상 약 30~40분간 유산소운동으로 몸안의 체지방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강도높은 운동은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탄수화물이나 포도당의 섭취를 더 많이 요구하게 됩니다. 따라서 체지방을 줄이기 위해서는 약한 강도의 운동을 일정하게 꾸준히 오랫동안 지속하는것이 방법입니다.

※ 체지방이 감소하려면 적어도 20분동안 운동을 해야 그 효과가 나타납니다. 현재의 몸무게를 유지하려면 빠른걸음으로 일주일에 3회 30분씩 운동을 해줘야 하고 몸무게를 감량하려면 일주일에 5회 50분씩 운동을 해야 합니다.

운동할 때 호흡은 옆사람과 가벼운 대화정는 가능하지만 노래하기엔 힘들정도가 적당하겠습니다. 이렇게 유산소 운동과 더불어 웨이트 운동을 병행하게 되면 근육량이 늘어나 기초대사량이 증가하여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내장지방은 피하지방보다 축적되기 쉬울 뿐더러 우리몸에 여러가지 질병을 유발하는 위험적인 존재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하지만 피하지방과 비교했을때 오히려 개선하기 쉽다라는 점을 간과해선 않됩니다. 꾸준한 유산소운동과 채소의 양을 늘리는 식단을 잘 지키기만 한다면 쉽게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내장지방이 없어지면 피하지방 또한 쌓이기 어려워지는 1석 2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반응형

댓글